corywb-1000 님의 블로그

corywb-1000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3. 16.

    by. corywb-1000

    목차

       부모 학습아이를 키우는 과정에서 부모가 많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율성과 독립성을 키우기 위해 부모의 말에 반항하거나 고집을 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훈육이나 강압적인 태도는 아이의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효과적인 대화법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아이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동시에 길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아 아동의 양육:긍정적인 대화
      아이와 엄마의 긍정적인 대화를 통해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는 모습.

      1.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서툴러서 떼를 쓰거나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부모가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지금 속상한 거구나. 엄마가 네 기분을 이해해 줄게."
      •  "이렇게 하고 싶었는데 못 하게 되니까 화가 났구나."
      •  "네가 그렇게 느낄 수도 있겠네. 엄마도 그런 적이 있었어."

      공감을 받으면 아이는 자신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게 되고, 부모와의 신뢰가 깊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대화가 가능해집니다.

      2.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시 전달하기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표현보다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시를 받을 때 더 잘 이해하고 따릅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원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전달하면, 아이가 해야 할 일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천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제대로 해!"보다는 "장난감은 놀이가 끝나면 바구니에 넣어야 해."
      • "조용히 해!"보다는 "목소리를 조금만 낮춰 줄 수 있을까?"
      • "말을 잘 들어야지!"보다는 "엄마가 이야기할 때 눈을 보고 들어주면 좋겠어."

      이러한 방식은 아이가 부모의 기대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선택권을 주어 자율성을 길러주기

      아이는 자신이 선택권을 가질 때 더 협조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부모가 일방적으로 명령하기보다는 선택지를 주면, 아이는 자율성을 느끼고 책임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이제 자야 해!" 대신 "책 읽고 잘까, 아니면 바로 잘까?"
      • "이거 먹어!" 대신 "당근이랑 브로콜리 중에 어떤 걸 먹을래?"
      • "숙제해!" 대신 "숙제를 먼저 할까, 간식 먹고 할까?"

      이렇게 하면 아이가 주도적으로 결정을 내리면서 부모의 말을 따르게 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4. 긍정적인 언어 사용하기

      아이들은 부정적인 언어보다 긍정적인 언어에 더 잘 반응합니다. 부모가 부정적인 표현을 자주 사용하면 아이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커집니다.

      • "하지 마!" 대신 "이렇게 하면 더 좋을 거야."
      • "너 왜 그렇게 해?" 대신 "이렇게 하면 어떨까?"
      • "안 돼!" 대신 "이렇게 해보는 건 어떠니?"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면 아이가 기분 좋게 행동을 바꿀 수 있으며, 부모와의 관계도 더욱 원활해집니다.

      5. 일관성 있는 태도 유지하기

      부모가 상황에 따라 말이 바뀌면 아이는 혼란을 느끼고 말을 듣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신의 원칙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오늘만 특별히 허락할게"라는 말을 자주 하면, 아이는 규칙을 무시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부모가 정한 규칙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모든 상황에서 동일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 한 번 정한 규칙을 쉽게 바꾸지 않도록 합니다.

      6. 모범을 보이며 대화하기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우기 때문에, 부모가 먼저 좋은 대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모가 먼저 아이에게 존중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 아이가 말할 때 끼어들지 않고 끝까지 듣습니다.
      • 차분한 목소리와 눈맞춤을 통해 대화합니다.

      7. 보상과 칭찬을 적절히 활용하기

      아이가 긍정적인 행동을 했을 때는 칭찬과 보상을 통해 동기부여를 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잘했어!" 대신 "스스로 정리하는 모습이 멋지다!"
      • "대단해!" 대신 "어제보다 더 잘했구나!"
      • 작은 목표를 달성하면 스티커나 간단한 보상을 제공합니다.

      8. 감정이 격해질 때는 대화보다 기다리기

      아이가 감정적으로 격해진 상태에서는 아무리 좋은 대화법도 효과가 없습니다. 이럴 때는 대화를 강요하지 않고 아이가 진정할 시간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 "진정하고 나서 이야기하자."
      • "엄마도 잠깐 생각할 시간이 필요해."
      • "우리 잠시만 조용히 있다가 이야기하자."

      9. 규칙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아이가 감정적으로 격해진 상태에서는 아무리 좋은 대화법도 효과가 없습니다. 이럴 때는 대화를 강요하지 않고 아이가 진정할 시간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 "밥 먹을 때는 장난치지 않고 자리에 앉아서 먹어야 해 ."
      • " TV는 하루에 30분만 볼 수 있어. 약속한 시간이 되면 TV를 꺼야 해."
      • " 놀 때 서로 양보하고 사이좋게 놀아야 해. 친구를 때리거나 괴롭히면 안 돼."

      10. 경청하기

      아이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아이의 의견을 존중합니다. 아이가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 "그랬구나.", "정말 재미있었겠다.", "속상했겠다."
      • "네가 지금 화가 난 것 같아.", "슬퍼 보이는구나."
      • "그래서 어떻게 됐어?", "그때 기분이 어땠어?"

      이렇게 하면 아이도 감정을 조절할 시간을 가지면서 더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결론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효과적인 대화법을 활용하면, 아이와 부모 간의 갈등을 줄이고 더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집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가 일관성 있는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또한, 긍정적인 언어와 선택권을 주는 방법을 통해 아이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대화법을 지속해서 실천하면, 아이는 부모의 말을 더 잘 따르고 신뢰를 쌓아가며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